
1. np.nditer()
: 다차원 배열을 반복한다.
: 배열 요소에 대한 연산을 수행한다.
: 브로드캐스팅을 처리하는 데 유용하다.(단, 브로드캐스팅 규칙 이해한 후 사용하기)
2. np.flatten()
: 다차원 배열을 일차원 배열로 변환한다.
: 이 함수를 이용하면 for 루프를 사용해서 쉽게 반복할 수 있다.
3. np.linspace(start=구간시작점, stop=구간 끝점, num=구간 내 숫자 개수)
: '구간 끝점'을 포함하지 않고 싶다면, endpoint=False로 한다.
: 숫자 사이의 간격이 얼마인지에 대한 값을 같이 반환하고 싶다면, retstep=True로 한다.
: 단계의 개수를 지정할 수 있다.
4. np.random.choice(a, size=None, replace=True, p=None)
: a = 1차원 배열 or 정수
: size = 정수 or 배열 (선택)
: replace = 중복 허용 여부, boolean (선택)
: p = 1차원 배열, 각 데이터가 선택될 확률 (선택)
5. np.diag(matrix, k)
= 'matrix'행렬의 k번 열부터의 대각선 값들을 반환해줘
: 대각 원소 추출 / 대각 행렬 함수
: matrix의 k열을 기준으로 대각선에 있는 값들을 array에 담아서 반환한다.
6. np.save('파일명',값)
: numpy.ndarray 저장
7. np.load('파일명')
: 데이터 로드
8. zfill()
: 문자열 형태에서 지정한 길이만큼 '0'을 채워 반환한다.
: 단, 지정한 길이는 기존 문자열의 길이를 포함한다.
9. rjust(지정한 길이, 지정한문자열)
: 문자열 형태에서 지정한 길이만큼 지정한 문자열을 채워준다.
: 지정한 길이은 기존 문자열의 길이를 포함한다. 또한 기존 문자열을 오른쪽으로 정렬한다.
10. ljust(지정한 길이, 지정한문자열)
: 문자열 형태에서 지정한 길이만큼 지정한 문자열을 채워준다.
: 지정한 길이은 기존 문자열의 길이를 포함한다. 또한 기존 문자열을 왼쪽으로 정렬한다.
11. set()
= 파이썬 집합
= 고유한 요소의 모음
: 단일 변수에 여러 항목을 저장한다.
: 순서가 없다.(인덱스로 접근하지 못함.) --> IF) set 자료형에 저장된 값을 인덱싱으로 접근하려면 리스트 또는 튜플로 변환 후 해야한다.
: 중복을 허용하지 않는다.
: 요소는 변경 불가능한 자료형만 사용할 수 있다.
12. set.difference()
: 두 집합(set) 간의 차이가 포함된 집합을 반환한다.
13. set1.symmetric_difference(set2)
= set1 ^ set2
: 두 집합(set)의 모든 항목을 포함하는 세트를 반환한다. 하지만, 두 세트에 모두 있는 항목은 반환하지 않는다. ( 교집합 부분 반환 안됨)
14. set.intersection(set1,set2)
= set1.intersection(set2)
: 두 집합(set)의 교집합 연산을 반환한다.
'📙 Fundamentals >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Note_Python_03 (0) | 2024.04.27 |
|---|---|
| Note_Python_02 (0) | 2024.04.17 |
| Numpy_01 (0) | 2024.04.09 |
| Note_Python_01 (0) | 2024.04.08 |
| 라이브러리 - 판다스 기초(3) (0) | 2024.03.0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