📙 Fundamentals/Python

Note_Python_02

Lento_ 2024. 4. 17. 15:13

 

[ Tuple_튜플 ]

(튜플 생성)

: 소괄호()를 이용하여 생성한다.  →  tuple 괄호 생략 가능(필수 조건이 아님)

: 각 요소는 쉼표 (,)로 구분한다.

: 다양한 자료형 포함 가능하다.

ex) list = (10,3,14,False,"Hello World")

: tuple() 함수를 이용하여 생성 가능하다.

: 여러 개의 값을 변수에 할당하여 생성 가능하다. (튜플 패킹 때문에 가능함)

cf) 튜플 패킹?

-> 여러 개의 값을 하나의 튜플로 묶는 것을 말한다.

: 비어있는 튜플 = ()

: 값이 하나만 있는 튜플 = (3,) --> 이와 같이 콤마 하나를 마지막에 붙여야한다.

: 값이 중복될 수 있다.

: 튜플의 요소 값은 변경하거나 삭제할 수 없다. --> 값이 변하지 않는다. / 수정과 삭제를 시도한다면 오류가 발생한다.

 

: 리스트를 이용한 튜플 생성 가능하다.

1) tuple()함수를 이용한다

2) 소괄호()안에 리스트를 넣는다.

 

(튜플 인덱싱)

= 튜플의 요소에 접근하는 것

: 튜플의 요소에 접근하려면, 튜플명[인덱스] 형식으로 접근 가능하다.

: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한다.

 

(튜플 슬라이싱)

: 튜플의 일부 요소를 접근하는 것이다.

: 튜플명[start:end:step] 형식으로 튜플의 슬라이싱이 가능하다.

: 단, 'end'의 '-1'인 범위까지이다. 즉, end번째의 값은 포함되지 않는다.

 

(튜플의 길이)

: 파이썬 내장함수 'len()'함수 이용하여 튜플의 길이를 구할 수 있음

 

(튜플 연산)

: "튜플 더하기" = 더해진 튜플들을 연결하여 새로운 튜플을 생성한다.

: "튜플 곱하기" = 기존의 튜플을 반복하여 해당 횟수만큼 반복된 새로운 튜플을 생성한다.

 

(튜플 내부에 값이 있는지 확인)

: 튜플 내부에 특정 값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 "in"을 이용한다.

 

(튜플 내의 값의 개수 확인)

: 'count()'함수를 이용하여 튜플 내부에 해당 값이 몇 개가 있는지 확인이 가능하다.

: 'count()'함수는 대소문자를 구분한다.

 

(튜플 정렬)

: 'sorted()'함수를 이용하여 정렬한다.

= sorted(iterable, key=None, reverse=False)

= iterable : 정렬할 데이터 설정

= key : 정렬 기준 설정

= reverse : 정렬 방향 설정 / True = 내림차순, False = 오름차순

: 자동으로 리스트 자료형으로 변환한다.

: 원본은 튜플 형태 유지, sorted()로 호출한 결과값만 리스트 타입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.

 

[ sort()& sorted() 정리 ]

(차이점)

sort()
: 리스트명.sort() --> 리스트형의 메소드
: 기존의 리스트를 정렬한다.
: 리스트'만' 정렬 가능하다.
: 리스트의 원본값을 직접 수정하기에 리스트를 따로 반환하지 않는다.
sorted()
: sorted(리스트명) --> 내장 함수
: 정렬된 새로운 리스트를 생성한다.
: 리스트 원본 값은 그대로이고 정렬한 복사본을 반환한다.

 

(공통점)

: 리스트를 정렬한다.

: key와 reverse라는 매개변수를 지정 가능하다.

 

(enumerate())

: 파이썬 내장 함수

: 인덱스와 원소로 이루어진 튜플을 만든다.

: 리스트의 원소에 순서값을 부여해준다.

 

(get())

= 딕셔너리에서 주어진 key에 해당하는 값을 반환하는 메서드이다.

: key와 기본값, 두 개의 파라마터를 갖는다.

: 만약 주어진 key가 딕셔너리에 존재 O --> 해당 키에 대한 값을 반환한다.

: 만약 주어진 key가 딕셔너리에 존재 X -->  기본값을 반환한다. 만약 기본값이 지정되지 않았다면, None을 반환한다. 

'📙 Fundamentals >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Numpy_03  (0) 2024.04.28
Note_Python_03  (0) 2024.04.27
Numpy_02  (0) 2024.04.13
Numpy_01  (0) 2024.04.09
Note_Python_01  (0) 2024.04.08