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np.array.tolist()
: Numpy를 List로 변환한다.
2. np.array(list)
: List를 Numpy로 변환한다.
3. np.pad()
= np.pad(array, pad_width=((a,b),(c,d)), mode='constant',constant_values=0)
: array = 패딩을 추가할 배열
: pad_width = 패딩의 크기를 결정한다. -> 데이터를 추가해서 테두리를 몇 줄을 만들 것인지 설정한다.
: pad_width = a : 위쪽 행 / b : 아래 행 / c : 왼쪽 열 / d : 오른쪽 열
: mode = 'constant' : 기본값 : 특정한 값으로 일정하게 테두리를 추가한다.
: mode = 'edge' : 원본 array 배열 경계의 값으로 테두리 데이터를 추가한다.
: mode = 'maximum' : 특정 테두리 위치에 존재하는 값에서 행/열에 있는 최대값으로 테두리 데이터를 추가한다.
: mode = 'wrap' : 배열을 끝에서부터 다시 시작해서 추가한다.
: mode = 'reflect' : 반사되는 방식으로 추가한다.
: constant_values = 테두리에 채워 넣을 상수 값을 의미한다. : 기본값 = 0
4. Numpy 집합함수
"unique(x)"
: 배열 내의 중복된 원소를 제거한 후, 유일한 원소를 정렬하여 반환한다.
"intersect1d(x,y)"
: 두 개의 배열 x, y의 교집합을 정렬하여 반환한다.
"union1d(x,y)"
: 두 개의 배열 x, y의 합집합을 정렬하여 반환한다.
"in1d(x)"
: 첫번째 배열 x가 두 번째 배열 y의 원소를 포함하고 있는지에 대한 여부를 True/False의 배열로 반환한다.
"setdiff1d(x,y)"
: 첫번째 배열 x로부터 두 번째 배열 y를 뺀 차집합을 반환한다.
"setxor1d(x,y)"
: x, y 두 배열의 합집합에서 교집합을 뺀 대칭 차집합을 반환한다.
5. np.argmax()
= np.argamx(A, axis=None, out=None)
: 최댓값이 어디에 있는지 반환한다.
6. 차원 조작하기
"np.reshape()"
: 배열의 모양을 변경한다.
"np.expand_dims()"
: 배열의 차원을 추가한다.
"np.squeeze()"
: 불필요한 배열의 차원을 줄이거나 제거한다.
"np.newaxis()"
: 새로운 축을 추가한다.
"np.swapaxes()"
: 두 개의 축의 위치를 서로 바꿔준다.
"np.moveaxis()"
: 특정 차원을 특정 위치로 이동시킨다. 이동이 완료되면, 나머지 차원들이 왼쪽으로 당겨지면서 자리를 채운다.
"np.transpose()"
: 배열을 전치시킨다.
: 약어로 ndarray.T로 사용된다
7. 배열 합치기
"np.concatenate()"
: 배열을 결합한다.
: axis =0 -> 수직으로 합치기
: axis =1 -> 수평으로 합치기
: axis =2 -> 깊이로 합치기
"np.hstack()"
: 가로 방향으로 배열 합치기
"np.vstack()"
: 세로 방향으로 배열 합치기
"np.column_stack()"
: 열벡터로 인식한 뒤 가로 방향으로 합치기
8. 문자열.split('구분자',분할 횟수)
: 앞에서부터 구분자를 기준으로 분할 횟수만큼 나눈다. 그리고 나머지는 나누지 않고 리스트이 마지막 요소로 채운다.
9. np.count_nonzero()
: 배열에서 0이 아닌 값의 개수를 알려주는 메서드
10. np.set_printoptions()
: 소수점 반올림해주는 메서드
(파라미터)
'precision' = 소수점 반올림하기 / 기본값:8
'threshold' = array(배열) 전체 출력 / 기본값:100
'formatter' = 출력 형식 바꾸기
'formatter' = np.set_printoptions(formatter={설정값:lambda x : 출력형식})
'suppress' = 소수점 표현에서 e 안보이게 하기
'edgeitems' = 각 차원의 시작과 끝의 배열 수를 요약해서 반환한다 / 기본값:3
'📙 Fundamentals >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Python_ 실습정리(1) : 클래스와 객체 (0) | 2025.03.18 |
---|---|
Numpy_04 (0) | 2024.04.28 |
Note_Python_03 (0) | 2024.04.27 |
Note_Python_02 (0) | 2024.04.17 |
Numpy_02 (0) | 2024.04.13 |